본문 바로가기

ios aos 개발/Android

make otapackage 는 언제 사용해야 할까?

반응형

 

* make otapackage는 전체(Full) OTA 업데이트 패키지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 새로운 OS 버전을 강제로 덮어쓰거나, ADB sideload를 통한 업데이트가 필요할 때 유용

 

1. 전체 OTA 업데이트(Full OTA) 생성

  • 기기의 기존 OS 버전과 상관없이 새로운 OS를 설치해야 할 때
  • 증분 업데이트(Incremental OTA)가 아닌, 완전한 업데이트 패키지가 필요할 때
  • 처음 기기를 출시할 때 OTA 파일을 제공해야 할 때

2. 공장 초기화 후 OTA로 복구할 때

  • A/B 시스템에서 부트로더 언락 없이 OTA로 복구해야 하는 경우
  • 기기에서 adb sideload update.zip을 사용하여 업데이트할 때

3. 출시용 OTA 패키지를 만들 때

  • Google이나 제조사에서 OTA 업데이트 파일을 배포할 때
  • OTA 서버를 통해 전체 OTA를 제공할 때

 

* make otapackage vs make target-files-package

명령어생성 파일사용 목적증분 OTA 지원

make otapackage ota.zip 기기에 직접 설치하는 전체 OTA 패키지 ❌ 불가능
make target-files-package target-files.zip 증분 OTA 패키지 생성에 필요 ✅ 가능 (ota_from_target_files 사용 시)

* 정리

상황 명령어
공장 초기 기기에 전체 OTA 제공 make otapackage
OTA 서버에서 Full OTA 제공 make otapackage
ADB Sideload로 업데이트할 때 make otapackage
OTA 업데이트 크기를 줄이고 싶을 때 make target-files-package → ota_from_target_files
증분 업데이트(Incremental OTA) 제공 make target-files-packag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