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oints
- 현대로템은 철도, 방산, 플랜트 부문에서 사업을 운영하며, 최근 실적이 개선되고 있음.
- 매출과 이익은 증가 추세이나, 부채 수준은 업계 평균과 비교해 양호함.
- 성장 잠재력은 높으며, 수소 기술과 신시장 진출로 미래가 밝음.
- 주요 경쟁자는 철도 부문에서 지멘스, 알스톰, 방산 부문에서 제너럴 다이내믹스 등임.
- 주가는 현재 약 89,700원으로, P/E 비율은 업계 평균과 비슷함.
사업 모델과 경쟁 우위
현대로템은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로, 철도, 방산, 플랜트 부문에서 사업을 운영함. 철도 부문에서는 KTX, 전동차, 트램 등을 제조하고, 방산 부문에서는 K2 흑표 전차와 장애물 개척 전차를 생산하며, 플랜트 부문에서는 제철 설비와 자동차 생산 라인을 공급함. 수익은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를 통해 창출되며, 특히 철도와 방산 계약이 매출의 큰 부분을 차지함. 2024년 기준으로 철도 부문이 매출의 약 50% 이상, 방산 부문이 30% 내외, 플랜트 부문이 15% 정도를 담당함.
주요 제품과 핵심 서비스
- 철도: KTX-이음(동력분산식 고속열차), 수소열차(개발 중).
- 방산: K2 흑표 전차, 장애물 개척 전차.
- 플랜트: 제철 설비, 자동차 생산 라인.
- 핵심 제품은 철도차량과 K2 전차로, 특히 방산 부문에서 해외 수출이 두드러짐.
경쟁 우위는 기술력, 글로벌 네트워크, 현대차그룹의 지원에서 찾을 수 있음. K2 전차와 수소열차 개발로 첨단 기술을 보유했으며, 37개국 이상에 철도차량을 수출하며 신뢰도를 쌓음. 현대차그룹의 자원과 협력으로 안정적인 공급망과 자금력을 확보함. 주요 제품은 KTX-이음, K2 흑표 전차로, 방산 부문에서 해외 수출이 두드러짐.


재무 상태
최근 몇 년간 현대로템의 실적은 방산과 철도 수주 증가로 개선됨.
연도
|
매출액 (억 원)
|
영업이익 (억 원)
|
순이익 (억 원)
|
2021
|
28,700
|
8,020
|
5,140
|
2022
|
31,633
|
10,780
|
19,780
|
2023
|
35,874
|
12,340
|
16,100
|
- 매출은 2021년부터 연평균 13% 이상 성장했으며, 순이익은 2022년에 크게 증가했으나 2023년에 약간 감소함.
- 2023년 말 기준 부채는 약 1조 8천억 원, 자본은 1조 5천억 원 수준으로, 부채비율은 약 120%로 업계 평균(100~150%)과 비교해 양호함.
- 운영 활동 현금 흐름은 2023년에 7,341억 원으로 흑자를 기록하며 안정적임.
성장 잠재력
현대로템이 속한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큼. 철도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5-6% 성장할 전망이며, 방산 시장은 2025년 약 2조 달러 규모로, 연평균 4-6% 성장함. 플랜트 시장은 산업 성장에 따라 변동이 있음.
회사의 시장 점유율은 철도 부문에서 국내 60% 이상, 글로벌 5% 내외임. 방산 부문에서는 K2 전차로 유럽 시장 공략 중임. 전략으로는 수소열차 상용화, 방산 수출 다변화(루마니아, 페루 등), 플랜트 턴키 공사 진출이 있음. 특히 2025년 모로코 국영철도청에 2조 2,027억 원(약 15억 달러) 규모의 더블덱 전기열차 공급 계약이 가장 큰 주문으로, 성장 가능성을 보여줌.
경영진과 지배 구조
최건희 사장은 2020년 취임 후 방산 수출(폴란드 K2 계약)과 철도 수주를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현대차그룹 내 기술 전문가로 평가받음. 주요 경영진의 주식 보유 비율은 낮음(0.1% 미만), 현대차그룹이 약 43% 지분을 보유함. 지배 구조는 투명하며, 사외이사 4명을 포함한 이사회와 감사위원회가 운영 중임.
위험 요인
주요 경쟁자는 철도 부문에서 지멘스, 알스톰, 봄바디어, 방산 부문에서 제너럴 다이내믹스, 레이시온 등임. 경쟁 구도는 치열하지만,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으로 틈새를 공략함. 규제 변화는 방산 수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철도 사업은 환경 규제 강화로 수소열차 전환이 필요함. 기술 변화(자율주행, AI)와 경제 상황 변화는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산업 전망과 현대로템의 미래
철도 산업은 친환경 교통 수요로 성장세가 뚜렷하며, 방산 산업은 지정학적 긴장으로 무기 수요가 증가함. 현대로템은 수소열차와 K2 전차 수출로 글로벌 입지를 강화하며, 특히 유럽과 남미 시장 확대가 기대됨.
(경고) 해당 정보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있으며, 투자는 잠재적인 위험이 따르는 활동입니다.
모든 정보와 의견은 저 스스로 공부하기위한것이며
투자 결정을 하기 위한 권고 사항이나 투자 조언이 아닙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에 동시에 업로드하고있습니다.
'경제공부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옵틱스 종목분석 (0) | 2025.03.11 |
---|---|
동성화인텍 종목분석 (2) | 2025.03.11 |
HLB 종목분석 (0) | 2025.03.09 |
쎄트렉아이 종목분석 (4) | 2025.03.08 |
알테오젠 종목분석 (1)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