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국내주식

알테오젠 종목분석

반응형

KeyPoint

  • 알테오젠에 투자해야 할 이유는 독자적인 기술과 파트너십, 성장 잠재력 큼.
  • 재무적 손실과 경쟁 심화, 임상 실패 가능성 있음.
  • 경쟁업체로는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암젠, 화이자 등이 있으며, 기술 협력과 경쟁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1. 회사 개요 및 최근 동향

알테오젠은 2008년 설립된 한국의 바이오텍 기업으로, 주요 사업은 바이오베터(개량형 바이오의약품)와 바이오시밀러(바이오동등의약품) 개발임. 독자적인 플랫폼 기술을 통해 글로벌 제약사와 협력하고 있음.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성장호르몬, 허셉틴/휴미라/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키트루다 SC(피하주사) 제형 등이 있음.

 

  • 최근 동향:
    • 2023년: 머크와의 키트루다 SC 개발 협력 강화, 미국 FDA 임상 데이터 긍정적 발표함.
    • 2024년: 키트루다 SC 미국 및 유럽 허가 신청 완료, 상업화 기대감으로 주가 급등(연말 기준 약 30만 원)함.
    • 기술 수출 계약: Intas와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계약, 로열티 수익 기대함.

 

2. 분석

2.1 장점

알테오젠은 독자적인 기술과 성장 잠재력으로 투자 매력도가 높음:

  • 기술 경쟁력: NexP Fusion, NexMab ADC, Hybrozyme 기술은 글로벌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제공함. 특히 Hybrozyme 기술은 피하주사 전환으로 환자 편의성과 비용 절감 가능함.
  • 파트너십: 머크, Intas 등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으로 안정적 수익 기반 확보함. 2024년 대이치산쿄와의 기술 이전 계약으로 최대 13억 달러 규모의 잠재 수익 기대함.
  • 성장 잠재력: 키트루다 SC 상업화 성공 시 시장 점유율 확대 예상, 2024년 매출 1,000억 원 이상, 영업이익 흑자 전환 가능성 있음.
  • 주가 성과: 2022~2024년 3년간 주가 729.38% 상승, 시가총액 15조 원 돌파(2024년 12월 기준), 외국인 및 기관 투자자 매수 증가함.

 

2.2 리스트

  • 재무적 손실: 2022년 매출 314억 원, 영업손실 141억 원; 2023년 매출 478억 원, 영업손실 98억 원. R&D 비용 증가로 적자 지속함.
  • 경쟁 심화: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암젠, 화이자 등과의 경쟁으로 시장 진입 장벽 높음.
  • 임상 및 규제 리스크: 신약 개발 과정에서의 임상 실패 가능성, FDA/EMA 허가 지연 가능성 있음.
  • 주가 변동성: 바이오 섹터 특성상 임상 결과, 계약 소식에 따라 주가 급등락 가능성 있음.

 

3. 고유 기술 및 특허 현황

3.1 기술 특허: NexP, NexMab, Hybrozyme 특허 현황 및 경쟁 기술 비교

  • NexP Fusion Technology: 인간 A1AT 단백질을 이용, 생물학적 반감기 증가, PEGylation 대비 면역원성 낮음함. 경쟁 기술로는 Fc 융합, 알부민 융합 등이 있음. NexP는 자연적 인간 단백질 사용으로 안전성 우위 주장.
  • NexMab ADC Technology: 사이트 특이적 접합으로 안정성과 효능 개선, 암세포 선택성 높음함. 1세대 ADC(Adcetris, Kadcyla)와 비교, 2세대 기술로 안전성 및 효능 우위.
  • Hybrozyme Technology: 피하주사 전환 기술, IV 대비 환자 편의성 증대, 글로벌 제약사 라이선싱 계약 체결함. 할로자임의 ENHANZE와 경쟁, 효소 활성 및 열안정성 개선 주장.

 

3.2 시장 분석: 바이오베터/바이오시밀러 시장 규모(2024년 약 500조 원 예상), 경쟁사 전략 분석

  • 시장 규모: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2024년 약 2,650억 달러(약 344조 원, 1 USD ≈ 1,300 KRW 기준)로 추정, 2033년까지 1,851억 달러(약 2,406조 원)로 성장 예상됨. 사용자의 500조 원 예상은 과대 추정일 가능성 있음.
  • 경쟁사 전략: 셀트리온은 Remsima 등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DMO 중심으로 생산력 강화, 암젠과 화이자는 글로벌 네트워크로 시장 지배력 유지. 알테오젠은 기술 이전으로 수익 창출 전략.

 

3.3 주가 변동 요인: 임상 결과, 허가 승인 소식에 따른 주가 변동성, 키트루다 SC 상업화 성공 여부 확인

  • 주가 변동 요인: 임상 결과(예: 키트루다 SC FDA 승인)와 계약 소식(예: 대이치산쿄 계약)이 주가에 큰 영향 미침. 2024년 키트루다 SC 상업화 기대감으로 주가 급등(최고 45.5만 원)함.
  • 리스크: 임상 실패나 허가 지연 시 주가 하락 가능성 높음. 키트루다 SC 상업화 성공 여부가 핵심 변수임.

 

3.4 리스크 요인: 임상 실패, 규제 지연, 경쟁 심화 가능성 분석

  • 임상 실패: 신약 개발 과정에서의 임상 실패로 프로젝트 지연 또는 중단 가능성 있음.
  • 규제 지연: FDA, EMA 허가 지연으로 시장 진입 지연 가능성 있음.
  • 경쟁 심화: 셀트리온, 암젠 등과의 경쟁으로 시장 점유율 확보 어려움 예상됨.

 

4. 경쟁업체와의 관계 및 비교

알테오젠은 바이오베터, 바이오시밀러, ADC, 피하주사 기술 분야에서 여러 경쟁업체와 경쟁하며, 일부는 협력 관계도 유지함. 

 
경쟁업체
주요 사업
관계
비교 포인트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바이오베터 개발
경쟁, 일부 기술 협력 가능
글로벌 시장 점유율 높음, 자본력 강함
삼성바이오로직스
CDMO,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기술 이전 파트너로 협력 가능
생산 능력 우수, 알테오젠 R&D 보완
암젠
바이오의약품, ADC 개발
경쟁
자본과 네트워크로 시장 지배력 강함
화이자
바이오시밀러, ADC, 글로벌 제약
경쟁
글로벌 브랜드와 자원으로 우위
할로자임
피하주사 기술(ENHANZE)
기술 경쟁, 협력 가능
Hybrozyme vs ENHANZE, 특허 만료(2030년)로 경쟁 심화
  • 관계: 알테오젠은 경쟁업체와 기술 협력(예: 대이치산쿄, Intas) 및 경쟁(셀트리온, 암젠) 관계를 동시에 유지함.
  • 비교 분석: Hybrozyme 기술은 할로자임의 ENHANZE와 경쟁하며, ALT-B4의 안정성과 효능에서 우위를 주장함. NexMab ADC는 사이트 특이적 접합으로 2세대 ADC 시장에서 차별화됨.

 

 

 

 

(경고) 해당 정보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있으며, 투자는 잠재적인 위험이 따르는 활동입니다.

모든 정보와 의견은 저 스스로 공부하기위한것이며

투자 결정을 하기 위한 권고 사항이나 투자 조언이 아닙니다.

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에 동시에 업로드하고있습니다

 

#바이오테크 #투자분석 #키트루다sc #hybrozyme #nexp #nexmab #바이오베터 #바이오시밀러 #주식투자 #코스닥 #기술특허 #경쟁업체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암젠 #화이자 #할로자임 #시장분석 #주가변동 #리스크분석 #글로벌파트너십

반응형

'경제공부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HLB 종목분석  (0) 2025.03.09
쎄트렉아이 종목분석  (4) 2025.03.08
세아제강 종목분석  (3) 2025.03.06
한화오션 종목분석  (2) 2025.03.06
리가켐바이오 종목분석  (3) 2025.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