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국내주식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종목분석

반응형

 

KeyPoint

  •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항공기 엔진과 방산 장비를 주로 생산하며, 최근 3년간 매출과 이익이 크게 증가했음
  • 시장 성장 가능성은 높으며, 특히 방산 수출 증가로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가 강화되고 있음.
  • 현재 주가는 업계 평균에 비해 저평가된 것으로 보임.

 

사업 모델과 경쟁 우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977년 설립된 한국의 주요 항공우주 및 방산 기업으로, 한화그룹 계열사입니다. 이전 이름은 한화테크윈이었으며, 현재는 항공기 엔진, 방산 장비, 우주 기술에 주력하고 있음. 사업 모델은 다음과 같음음

 

  • 방산 부문: 자주포(K9), 탄약 운반차, 로켓 발사기(천무) 등 군사 장비 제조 및 유지보수.
  • 항공 엔진 부문: 가스터빈 엔진, 엔진 부품 생산 및 유지보수 서비스.
  • 우주 부문: 누리호(KSLV-II) 발사체 엔진, 위성 부품(터보 펌프, 밸브) 개발.
  • 기타 부문: 보안(CCTV, DVR), 산업 장비(칩 마운터), IT 서비스(시스템 설계) 등.

수익은 주로 제품 판매와 유지보수 서비스로 창출되며, 특히 방산 수출(폴란드, 노르웨이 등)에서 최근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경쟁 우위

  • 한국 내 유일한 가스터빈 엔진 제조사로 독점적 시장 지위.
  • 우주 기술에서의 선도적 역할, 특히 누리호 발사체 엔진 개발로 기술적 우위를 확보.
  • 산 제품(K9 자주포, 천무 로켓 발사기)의 글로벌 수출 확대.

주요 제품은 방산(자주포, 로켓 발사기), 항공 엔진(가스터빈), 우주 발사체 엔진으로, 핵심 서비스는 엔진 유지보수와 시스템 통합임.

 

재무 상태

최근 3년간(2021~2023년) 재무 상태를 분석하면 매출과 이익이 꾸준히 증가함. (단위: 조 원)

연도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2021
5,541
277
119
2022
7,060
400
307
2023
9,359
691
649
2024
11,240
1,720
2,540
  • 매출 및 이익 추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매출은 연평균 30% 이상 성장했으며, 2024년에는 42.5% 증가해 11.24조 원으로 사상 최고를 기록함.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각각 190.2%, 160.5% 증가해 강력한 수익성 개선됨
  • 부채 수준: 2023년 기준 총부채는 14,859조 원, 자본은 4,684조 원으로 부채비율(총부채/자본)은 약 3.17입니다. 방산 업계는 자본 집약적 특성상 높은 부채비율이 일반적이며, 현금 흐름 안정성을 고려할 때 관리 가능할것으로 보임.
  • 현금 흐름: 2023년 운영 현금 흐름은 1.39조 원, 자유 현금 흐름은 0.94조 원으로 안정적인 현금 창출 능력있어보임

 

성장 잠재력

한국 방산 및 항공우주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으로, 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2025년 48.8억 달러에서 2030년 76.4억 달러로 연평균 9.38%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 시장에서 주요 플레이어로, 2023년 매출 약 93.59조 원(약 65.4억 달러, 환율 1 USD = 1,430 KRW 기준)으로 시장 점유율이 높음음.

 

  • 시장 점유율: 정확한 점유율은 공식 데이터가 부족하지만, 주요 경쟁사(KAI, LIG 넥스원)와 비교해 방산 수출(특히 K9 자주포, 천무 로켓 발사기)에서 강력한 입지를 보임임. 2023년 매출 중 방산 및 항공우주 관련 부문(방산 58.81조 원, 항공 17.40조 원, 우주 1.25조 원 추정)으로 약 77.46조 원(약 54.2억 달러)으로 추정됨
  • 성장 전략: 해외 수출 확대(폴란드, 노르웨이 방산 계약), 우주 기술 강화(위성 부품, 발사체 엔진 개발), 신제품 출시(레이저 무기, 무인 시스템)로 점유율 확대하고 있음

 

위험 요인

  • 주요 경쟁자: 국내 경쟁사는 KAI, LIG 넥스원, 현대중공업 등이며, 글로벌로는 보잉, 록히드마틴, 레이시온 등이 있으며. 경쟁 구도는 기술 혁신과 수출 계약에서 치열함.
  • 규제 변화 및 법적 이슈: 방산 수출 규제(국제 무기 거래 규제), 국내 방산 정책 변화가 사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북핵 위협과 관련된 국방 예산 변화도 변수임.
  • 기술 변화 및 경제 상황: 항공우주 기술의 빠른 발전(전기 비행기, AI 기반 무기 시스템)에 대응해야 하며, 금리 상승과 인플레이션은 자금 조달 비용과 수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그러나 지리정치적 긴장(북한 위협, 유럽 방산 수요 증가)으로 방산 수요는 증가할 가능성이 큼.

 

주가와 밸류에이션

현재 주가는 204,000원(2025년 3월 1일 기준)으로, 시가총액은 약 8,000조 원(약 56억 달러).

  • P/E 비율: 2023년 EPS 약 16,598원으로 P/E 비율은 약 12.3. 업계 평균 P/E(20~30, CSIMarket 기준)와 비교해 저평가된 것으로 보임.
  • P/B 비율: 2023년 주당 순자산가치(BPS) 약 90,230원으로 P/B 비율은 약 2.26, 업계 평균과 비교해 합리적인 수준.

 

시장 심리와 외부 요인

최근 주가 변동성은 높았으며, 2024년 동안 30% 이상 상승하며 긍정적 시장 심리를 반영함. 기관 투자자와 애널리스트의 평가는 주로 긍정적이며, 방산 수출 증가와 기록적 실적에 힘입어 주가 상승을 기대하는 분위기임(MarketWatch). 금리와 인플레이션은 자금 조달 비용을 높일 수 있지만, 방산 수요 증가로 상쇄될 가능성이 큼. 지리정치적 긴장(북한, 유럽 방산 수요)은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경고) 해당 정보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있으며, 투자는 잠재적인 위험이 따르는 활동입니다.

모든 정보와 의견은 저 스스로 공부하기위한것이며

투자 결정을 하기 위한 권고 사항이나 투자 조언이 아닙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에 동시에 업로드하고있습니다

 

 

 

반응형

'경제공부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엠앤씨솔루션 종목분석  (0) 2025.03.13
HPSP 종목분석  (3) 2025.03.12
TGV 장비란?  (1) 2025.03.11
필옵틱스 종목분석  (0) 2025.03.11
동성화인텍 종목분석  (2)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