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국내주식

보성파워텍 종목분석

반응형

요약

 

  • 보성파워텍은 한국 전력산업의 핵심 기업으로, 전력기자재와 신재생에너지 솔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장함.
  • 1970년 설립 이후 기술 혁신을 통해 원자력 및 철구조물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함.
  • 최근 AI 전력 수요 증가와 원전 재조명으로 주목받으며, 2023년 실적 개선과 대형 프로젝트 수주로 미래 전망이 밝음.
  • 그러나 교육 부족과 재무 변동성 같은 내부 과제를 해결해야 함.
  • 글로벌 트렌드 속에서 기술력과 해외 진출 확대를 통해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함.

 

주요 제품 및 기술

보성파워텍은 다양한 전력 관련 제품과 기술을 보유함:

  1. 전력기자재 부문
    보성파워텍의 핵심 사업임. 가스개폐기, 주상변압기, 송전철탑, 발전소 및 변전소용 철구조물 등을 생산함. 이 부문은 충북 충주와 전남 나주 공장에서 직접 생산됨.
  2. 철구조 사업
    구조용 금속 판제품 및 공작물을 전문적으로 제조함. 특히 원자력 발전소에 사용되는 철구조물 생산에 강점이 있음. 내진 설계와 품질을 인정받고 있음.
  3. 에너지 신사업
    태양광발전 및 전력저장장치(ESS) 사업에 진출함으로써 환경·에너지신사업 미래성장기반을 확보함. 특히 스마트그리드스테이션 및 주파수조정용(FR) ESS와 같은 전력저장장치 시장에 중점을 둠. 국내 최초 풍력 연계형 ESS, 세계 최대 규모 주파수조정용 ESS 등을 구축함으로써 기술력을 인정받음.
  4. 기술 혁신
    1991년 부설연구소 설립 이후 옥외용 가스차단기, 건식형중성점접지리액터, 타임스위치, 대용량전선휴즈, 가공선지지대, 송전선로용쐐기형크램프, 낙뢰표시기, 건식형분로리액터, H형스틸폴 등을 국내 최초로 개발함. 또한 초고압직류송전(HVDC) 강관 철탑 건설 기술 등 첨단 기술을 보유함.

보성파워텍

 

보성파워텍

경쟁사와 경쟁력 분석

주요 경쟁사

  • 파워넷, 선도전기, 서전기전
  • LS, HD현대일렉트릭, LS ELECTRIC, 대한전선

경쟁사 대비 재무 지표 비교 (2023년 기준)

구분보성파워텍파워넷선도전기서전기전
주가 2,580 2,185 3,000 3,835
시가총액(억원) 1,268 478 540 372
매출액(억원) 771 3,230 240 633
영업이익(억원) 48 133 -57 6
당기순이익(억원) 60 90 98 11
PER 21.30 2.72 5.52 34.33
PBR 1.40 0.42 1.67 1.18
ROE(%) 6.80 16.36 36.90 3.50
영업이익률(%) 6.26 4.13 -23.97 0.97

경쟁사 대비 장점

  • 원자력 전문성이 있음: 원자력 발전소의 핵심 부품과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전문 기업으로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함
  • 기술 다양성이 있음: 전력 보호기기, 고효율 변압기, 환경 친화형 전선, 퓨즈 등 전력 설비 분야에서 탁월한 기술력을 보유함
  • 신기술 개발이 뛰어남: '케이블헤드 수직배치 강관철탑' 신기술인증 등 다수의 지식재산권을 확보함
  • 원자력 플랜트 수행 능력이 있음: 충주공장 이전 및 확장으로 원자력 플랜트 등 대형 프로젝트 수행 기반을 구축함
  • 에너지 신사업을 선도함: 소형모듈 원자로 기술 개발, 배터리저장장치(BESS) 및 EV충전기 분야에 진출함

경쟁사 대비 단점

  • 인적 자원 개발이 부족함: 직원 개개인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이 부족하다는 내부 평가가 있음
  • 재무적 변동성이 있음: 2021-2022년 적자를 기록하다 2023년에 흑자 전환함으로써 실적의 변동성이 큼
  • 상대적으로 높은 PER을 유지함: 경쟁사인 파워넷(2.72), 선도전기(5.52)에 비해 높은 PER(21.30)을 보임
  • 매출 규모가 작음: 경쟁사인 파워넷(3,230억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매출 규모(771억원)를 가짐

산업 분석 및 전망

전력 산업 현황

전력 산업은 발전, 송전, 배전으로 구성됨. 전력망은 크게 송전과 배전으로 나뉨.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가 송전망을 거쳐 필요 지역의 변전소까지 이동함. 변전소에서 가정·공장까지 배전됨. 최근 AI 산업 성장, 데이터센터 증가, 전기차 보급 확대 등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함.

미래 전망

  • AI 전력 수요가 급증함: 2026년 전 세계 전력 소비량이 2022년 대비 2배 이상 늘어날 전망임.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2년 글로벌 데이터 센터 전력 수요 460TWh가 2026년에는 1050TWh까지 증가할 것으로 분석함
  • 데이터센터가 증가함: 현재 전 세계적으로 8000개 이상의 데이터 센터가 가동 중임. 이 중 약 33%가 미국에, 16%가 유럽에, 10%가 중국에 위치함
  • 전력 인프라가 현대화됨: 북미를 중심으로 노후화된 전력 인프라를 현대화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됨. 국내에서도 원전 관련 정책 기대감이 높아짐
  •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됨: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정부의 지원 정책과 글로벌 에너지 전환 추세가 보성파워텍과 같은 에너지 솔루션 기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임
  • 원전 산업이 재조명됨: 효과적인 전력 조달을 위해 원전의 역할이 재조명됨으로써, 원전 관련 기술을 보유한 보성파워텍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됨

제품 수출 사례

아시아 지역 수출
  • 미얀마에 진출함: 2009년 미얀마 국영철강업체인 MEC사와 약 47억원 규모의 송전철탑 제작 설비 공급 계약을 체결함
  • 미얀마에 추가 수출함: 2009년 7월 추가로 29억원 상당의 송전철탑 제작 설비(앵글 및 플레이트 가공설비)를 수출함
  • 미얀마에서 현지화함: 미얀마 현지에 사무소를 개설함으로써, 미얀마 정부의 대규모 전원개발계획에 따른 수요에 대응함
  • 필리핀에 진출함: 2002년 필리핀 현지법인 설립(BS POWERTEC. phis.inc)으로 해외 영업력을 강화함

향후 수출 전망

미국의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 배터리, 전기차, 반도체 등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함. 이에 따라 보성파워텍의 송전망, 원전 관련 제품들의 미국향 수출 확대 기회가 예상됨. 체코 원전 수주 성공으로 한국의 원전 기술 경쟁력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음. 보성파워텍과 같은 원전 설비 기업들의 글로벌 수주 기회가 확대될 전망임.

최근 3년 재무분석

손익계산서 (단위: 억원)

구분202120222023증감율(2022-2023)
매출액 685 542 785 +44.8%
매출원가 641 521 701 +34.5%
매출총이익 45 21 84 +300.0%
판매비와관리비 60 66 51 -22.7%
영업이익 -15 -45 33 흑자전환
세전이익 -22 -112 44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9 -111 44 흑자전환

재무상태표 (단위: 억원)

구분202120222023증감율(2022-2023)
자산 1,115 855 966 +13.0%
유동자산 613 430 522 +21.4%
비유동자산 502 425 444 +4.5%
부채 199 47 118 +151.1%
유동부채 192 42 113 +169.0%
비유동부채 7 4 5 +25.0%
자본 916 808 848 +5.0%

재무분석 및 향후 전망

  • 실적이 개선됨: 2023년에는 실적이 크게 개선됨. 매출액이 증가함.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흑자 전환됨. 특히 2023년 4분기 영업이익은 1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함. 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모두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함
  • 수익성이 개선됨: 원가율 하락과 판관비 감소로 인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흑자 전환됨. 매출총이익이 2022년 21억원에서 2023년 84억원으로 크게 증가함
  • 2024년 전망이 밝음: 리서치알음은 2024년 동사의 예상 영업실적을 매출액 948억원(+20.8%), 영업이익 54억원(+58.2%)으로 추정함. 2023년 하반기부터 2024년 2분기까지 수주한 프로젝트들을 적극 추진함. 송전철탑 등에 대한 꾸준한 수요 증가로 실적이 개선될 전망임
  •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함: 한국전력원자력과의 신한울 3, 4호기(APR-1400) 외 33종, 약 2만 9140톤 철골 공급 계약(약 561억원 규모)을 체결함. 이는 동사 창사 이래 단일 건으로는 최대 규모임. 2024년 사상 최대 실적 달성이 기대됨

 

(경고) 해당 정보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있으며, 투자는 잠재적인 위험이 따르는 활동입니다.

모든 정보와 의견은 저 스스로 공부하기위한것이며

투자 결정을 하기 위한 권고 사항이나 투자 조언이 아닙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에 동시에 업로드하고있습니다

 

 

#보성파워텍 #전력산업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기술혁신 #경쟁력 #재무분석 #미래전망 #AI전력수요 #데이터센터 #에너지신사업 #송전철탑 #ESS #해외진출 #코스닥

 

반응형

'경제공부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스 종목분석  (2) 2025.04.08
SK가스 종목분석  (2) 2025.03.31
삼성전자 종목분석  (1) 2025.03.27
HL만도 종목분석  (2) 2025.03.26
DB하이텍 종목분석  (4) 2025.03.24